IP 주소

2023. 9. 6. 12:21· CS 기본/네트워크
목차
  1. 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)
  2. hop by hop 통신
  3. IP 주소 체계

본 포스팅은 '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'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
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)

  •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 통신은 IP주소 기반으로 통신한다고 알고 있지만 정확히 이야기하면 ARP를 통해 MAC 주소를 찾아 MAC 주소 기반으로 통신
  • 가상 주소인 IP주소를 실제 주소인 MAC주소로 변환
  • 반대로 RARP를 통해 실제 주소인 MAC주소를 가상 주소인 IP주소로 변환하기도 함.

  • ARP Request 브로드캐스트를 보내 IP주소에 해당하는 MAC 주소를 찾음. 그리고 해당 주소에 맞는 장치 B가 ARP Reply 유니캐스트를 통해 MAC 주소를 반환하는 과정을 거침


hop by hop 통신

  • IP주소를 통해 통신하는 과정을 홉바이홉 통신이라고 함
  • 통신망에서 각 패킷이 여러 개의 라우터를 건나가는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
  • 수많은 서브네트워크 안에 있는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IP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고 전달

Routing VS Forwading

Routing: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것(라우팅 알고리즘을 통해 라우팅 테이블을 만드는 것) 

Forwarding: 라우터의 입력 포트에서 출력포트로 패킷을 이동시키는 것

 

라우팅 테이블(Routing table)

  • 송신지에서 수진지까지 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우터에 들어가 있는 목적지 정보들과 그 목적지로 가기 위한 방법이 들어 있는 리스트
  • 게이트웨이와 모든 목적지에 대해 해당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할 다음 라우터의 정보를 가지고 있음.

게이트웨이(Gateway)

  • 서로 다른 통신망,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관문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두루 일컫는 용어
  •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톨게이트인 게이트웨이를 거쳐야함
  • 서로 다른 네트워크상의 통신 프로토콜을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함.

IP 주소 체계

  • IPv4: 32비트, 8비트 단위로 . 찍음
  • IPv6: 128비트, 16비트 단위로 : 찍음

클래스 기반 할당 방식(classful network addressing)

  • A, B, C, D, E 다섯 개의 클래스로 구분하는 방식
  • 앞에 있는 부분을 네트워크 주소, 뒤에 있는 부분을 호스트 주소로 놓아서 사용

  • 클래스 A,B,C는 일대일 통신으로 사용
  • 클래스 D는 멀티캐스트 통신
  • 클래스 E는 예비용으로 사용
  • 클래스 A의 범위는 0.0.0.0 부터 127.255.255.255까지 범위를 가짐

  • 맨 왼쪽의 구분 비트가 클래스마다 다르다
  • A는 0, B는 10, C는 110

  • 네트워크에 할당된 첫번째 주소 = 네트워크 구별 주소
  • 가장 마지막 주소는 브로드캐스트용 주소
  • 12.0.0.1 ~ 12.255.255.254가 컴퓨터에게 부여할 수 있는 호스트 주소
  • 하지만 이 방식은 사용하는 주소보다 버리는 주소가 많은 단점이 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DHCP, IPv6, NAT가 나왔다.

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

  • IP 주소 및 기타 통신 매개변수를 자동으로 할당하기 위한 프로토콜
  • IP주소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없이 인터넷에 접속할 때마다 자동으로 IP 주소 할당
  • 라우터와 게이트 장비에 DHCP 기능이 있다.

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

  • 패킷이 라우팅 자체를 통해 전송되는 동안 패킷의 IP 주소 정보를 수정하여 IP주소를 다른 주소로 매핑하는 방법
  • 많은 주소를 감당하지 못하는 단점을 해결해 줌.
  • 공인 IP 와 사설 IP로 나눠서 많은 주소를 처리.
  • 여러 대의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.
  • 보안 효과: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IP주소와 외부 IP주소가 달라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보안 가능
  • 여러 명이 동시에 인터넷을 접속하게 되므로 호스트 숫자에 따라 접속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.

'CS 기본 >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HTTP  (0) 2023.09.10
네트워크 기기  (0) 2023.09.05
TCP/IP 4계층 모델  (0) 2023.09.04
네트워크 기초  (0) 2023.09.04
  1. 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)
  2. hop by hop 통신
  3. IP 주소 체계
'CS 기본/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HTTP
  • 네트워크 기기
  • TCP/IP 4계층 모델
  • 네트워크 기초
LTSGOD
LTSGOD
LTSGOD
TS's log
LTSGOD
전체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38)
    • 언어 공부 (18)
      • C++ (6)
      • Python (12)
    • AI (39)
      • Numpy (2)
      • Pandas (5)
      • Pytorch (11)
      • Deep Learning (9)
      • CV (11)
      • 과제에서 얻은 것 (1)
    • 수학 (17)
      • 확률론 (8)
      • AI Math (9)
    • Spring (24)
      • 스프링입문 (8)
      • 스프링 원리 - 기본편 (5)
      •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구현하는 웹 서비스 (10)
      • JPA (1)
      • spring MVC (0)
    • CS 기본 (25)
      • 네트워크 (5)
      • OS (4)
      • 자료구조 (9)
      • DB (7)
    • Git (2)
    • 백준 (1)
    • 활동 (8)
      • 2023 겨울 (1)
      • 네이버 부스트캠프 AI Tech (7)
    • HTML,CSS (2)
    • 도커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후기
  • Camper
  • 붓캠
  • 부스트캠프
  • pytorch
  • AI
  • AWS
  • BOOSTCAMP
  • 백준
  • AI Tech 5기
  • 5기
  • 회고

최근 댓글

최근 글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v4.2.1
LTSGOD
IP 주소
상단으로

티스토리툴바

개인정보

  • 티스토리 홈
  • 포럼
  • 로그인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